제연커미셔닝 / 제연T.A.B

제연 커미셔닝 및 T.A.B

설계도서 검토
설계 목표치 검토
· 발주처의 설계 목표 적정성 검토
· 관련 법령에 의한 제연 시스템의 적정성 검토
설계도서 검토
· 제연 System 구성의 적정성 검토
- 급배기 송풍기 종류, 위치 및 설치 적정성 검토
- 시방서 적정성 검토
- 차압댐퍼, Actuator 및 설비 구성의 적정성 검토
- 겹부속실 등의 특수 조건에 대한 적정성 검토
- 덕트 유속에 따른 압력 분포 및 정압 적정성 검토
· 수계산을 통한 기본 성능 확인
Multi-Zone 방식의 Air Flow Simulation 수행
· (CONTAM활용) *
성능 및 경제성을 고려한 제연 System 개선안 수립, 제안

제연 시뮬레이션의 적용 조건(CONTAM)
주요 적용 대상
· 연돌 효과 분석을 통한 제연성능 확인
· 덕트, 송풍기, 댐퍼기구류 적정성 판정 및 개선책 도출
· 시스템 적정 차압(비개방차압)형성 및 방연풍속 검증
적용조건 및 분석
· 열관류율 등을 이용한 각 실 온도 조건 부여
· 수계산을 통한 입력조건 검증 실시
· 덕트기구류, 송풍기 및 건축 누설경로 조건 부여
· 적정성 분석
- 덕트 크기 및 경로 적정성 / 차압댐퍼 크기의 적정성
- 체절압에 의한 기구류 파손우려 검토
- 선정 송풍기 및 제어방법의 적정성
· 화재안전기준 및 설계 목표치의 부합성 검토
주의 사항
· 건물 개구부 반영시 다양한 조건으로 검토 필요
· 적절한 덕트 Factor 입력
· 덕트 터미널등은 카다로그등의 자료 이용하여 환산 입력
· 시스템의 경향을 판단 할 수 있고, 다양한 Factor로 분석 하여
실패 확률을 줄여야 한다.(최소 10가지 이상)
· 부적정 Factor 사용시 결과값을 전혀 신뢰 할 수 없다.

중간 검사
현장도서 검토
· 제안도서와 Shop Drawing 비교
· 허용범위 이상의 현장 오차 발생 예상구역 수정안 제시
· Shop Drawing 적정성 여부 판단
덕트 누설 시험
· 작업자 작업능력 파악 및 시공 상태 점검을 위해 실시한다.
· 입상덕트 1/3정도 설치시 샘플 시험하여 문제점 도출
리스크 집중 관리
· 풍량 저하 방지를 위한 수평덕트 시공방법 및 상태 관리
· 댐퍼축의 미끌림, 댐퍼 날개의 휨 등으로 발행하는 하자 요인을 방지하기 위한
댐퍼 선정 및 반입자재 점검
· 자동차압댐퍼의 품질을 위해 필요시 댐퍼 누기시험 실시
· 방화문의 설치상태 및 개방방향 관리
· 과압우려시 과압제어를 위한 추가 장치 검토
성능시험 전 현장 점검 실시
· 시험 가능 여부 판단
· 보완 공사 필요 부분 제시

성능 시험
부속실 차압 시험
· 전 층 제연구역과 옥내 사이의 차압 측정
· 제연구역과 옥내 사이는 40Pa 이상의 차압을 유지할 것
방화문 개방력 시험
· 전 층 제연구역 출입문 개방에 필요한 개방력 측정
· 제연구역의 출입문을 개방하는데 필요한 힘은 110N 이하
방연풍속 측정
· 송풍기에서 가장 먼 층 방화문 개방하고 방연풍속 측정
· 20층 이하는 1개소, 20층 초과는 2개소의 방화문 개방 측정 (32점 이상 원칙)
비개방층 차압 측정
· 방연풍속 구현 상태에서 방화문 미개방층의 차압 측정
· 5개층 마다 비개방 상태의 차압 측정
송풍기 풍량 측정
· 방연풍속 구현 상태에서 방화문 미개방층의 차압 측정
· 5개층 마다 비개방 상태의 차압 측정
최종 보고서 작성
· 방연풍속 구현 상태에서 방화문 미개방층의 차압 측정

승강로 가압 제연시스템

개요
기존의 입상하는 수직덕트를 이용한 가압방식에서 비상용 승강장의 승강로 또는 피난용 승강장의 승강로를 수직덕트로 활용하여 가압하는 제연 시스템
장점
· 제연수직덕트, 구조 등 불필요한 시공비 절감
· 샤프트면적을 활용한 공간활용성
검토사항
· 승강로의 공기유입구 및 벽체 차압댐퍼 설치위치 검토
· 제연계산서 검토